최근 들어 붕어낚시꾼들 사이에 향어와 붕어의 교잡종으로 알려진 향붕어에 대한 관심과 논란이 뜨겁습니다.
중국에서 수입된 종이라는 말도 있고, 전라도 익산 지역에서 양식에 성공하여 특허까지 받았다는 '~카더라' 소문이 무성한데 그 구체적인 유통 경로가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없는듯 합니다. (확인 결과 국내에서 개발된 교배종인 것 맞습니다)
성장 속도가 빠르고 질병에 강하여 유료터 입장에서는 방류하기 좋은 어종으로 떠오르고는 있지만,,
붕어낚시에도 대물낚시, 유료터 양어장의 템포낚시, 하우스낚시 등.. 여러 장르가 있어서 이 향붕어에 대한 호불호가 아직까지(2019년 5월 현재)는 극명하게 나뉘는 것 같습니다.
혹자는
"입질이 마치 향어처럼 깔짝거리고 찌를 올리지도 못하면서 너무 지저분하고, 생김새도 보기 싫다"라고도 하고,
혹자는
"향붕어도 찌를 올릴 때는 잘 올려주기도 하고 체색이 노란색이라 '황금붕어'로 불릴만 하다"라고도 합니다.
어쨌거나 힘은 좋아서 찌맛은 차체하고, 손맛은 아주 좋은 편입니다.
필자의 경우
이런 향붕어가 방류된 관리형 저수지에서 낚시를 했을 때 입질이 매우 까다롭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오물오물거리거나 좌우로 살짝 깔짝대다가 한마디 정도 겨우 올리는가 하면, 어떤 경우에는 시원스럽게 찌를 올리기도 하고, 찌가 완전히 입수하여 바로 서기도 전에 중간에 받아먹는지 옆으로 확 째고 나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물론 챔질에 성공했을 때는 낚싯대 우는 소리와 함께 정말 당차고 짜릿한 손맛을 안겨주기는 했습니다.
일각에서는
향붕어라는 새로운 아종의 등장으로 새로운 붕어낚시기법이 생겨날 것이고, 이로 인해 유료터 장르의 낚시가 더 흥미로워질 수 있을 것이란 얘기를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아마도 대부분 양어장이나 관리형 저수지 등의 관리자들이나 유료터 출조를 주로 하는 낚시꾼들의 입장인듯 합니다.
물론 이것도 일리가 있는 주장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관점에서)
붕어낚시는 손맛 못지않게 찌올림의 맛도 중요하고,
토종붕어야말로 시원한 찌올림(올림낚시)을 선사하는 거의 유일한 소중한 어종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한 편으로는,,
토종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배스나 블루길 같은 외래·유해어종들로 인해 갈수록 토종붕어의 씨가 말라가는 상황에서 여기에 '또다른 아종이나 교잡종이 늘어나는 것이 마냥 바람직하기만 한 것인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래도 향어 암컷과 붕어 수컷의 교배종인 향붕어는 번식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연지로 유출되어도 교잡종의 확산이 발생할 우려는 없다는 것이 다행입니다.
어쨌거나 결론적으로는..
- 시원스럽게 찌를 올려주는 유일한 붕어인 우리의 토종붕어의 개체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 토종 생태계를 심각하게 교란하고 있는 배스, 블루길 같은 유해·외래어종들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것은 매우 매우 심각한 지경이며,
- 부득이 토종 붕어의 대체 아종들만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다소 안타까운 일입니다..
유료터에서 만큼은 양식장에서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출하하여 양어장에 방류하는 손맛 좋은 국산 교배종 향붕어를 낚고,
자연지에서는 토종붕어를 많이 만날 수 있는 건강한 토종 생태 자연환경이 회복되기를 바랍니다.
p.s..
향붕어가 번식을 못 하는 것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생식 산란을 하지 않음으로써(유사 산란 행위를 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진 않았음) 새로운 교잡 아종이 확산되지 않아 토종 생태계에 영향이 없고, 유료터 관리인들은 개체 수를 유지하기 위해 방류를 함으로써 개체 순환을 하고, 낚시꾼 입장에서는 당찬 손맛을 많이 볼 수 있다는 것이 향붕어의 장점입니다.
입질이 중2병, 혹은 갱년기 증상 같다는 것이 단점이긴 합니다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