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한 낚시인구와 다양한 釣具 제품들의 출시, 그리고 여러 가지 기법에 비례하여 붕어낚시 채비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채비가 붕어낚시에 있어서 가장 좋은 채비일까?
최근에는 채비의 종류도 워낙 다양해졌기 때문에 어느 것 하나를 딱 꼬집어서 가장 좋은 채비라고 말할 수는 없다.
토종붕어를 대상으로 하는 바닥채비에 국한하여 보자면,,
전통적인 원봉돌 올림채비, 스위벨채비, 옥내림채비, 옥올림채비, 슬로프채비, 안내병채비, 방랑자채비, 편대채비, 올킬채비, 중통·외통채비 등등. 그 종류와 기법이 매우 다양해졌다.
이를 단순하게 분류하자면,,
- 전통채비(원봉돌 바닥채비)와
- 봉돌분할 및 응용채비(스위벨, 방랑자, 안내병, 옥올림채비),
- 그리고 바닥채비임에도 불구하고 내림기법(옥내림채비),
- 유동봉돌을 사용하는 채비(올킬, 중통·외통채비)로 분류된다고 볼 수 있다. (기타 : 편대, 연주찌, 동동 채비)
이러한 채비 기법들은 낚시꾼들의 취향이나 기법, 붕어 입질패턴에 대한 적극적 대응, 계절과 지역적 요인에 의해 선택되는데 요즘은 단순히 채비의 선택에만 머물지 않고, 자신만의 기법과 변형된 채비를 운용하는 꾼들이 많아지고 있다.
붕어의 이물감을 최소화한다고 장찌임에도 저부력인 찌를 사용하고,
최대한 작은 원줄 호수나 플로팅 계열의 원줄만을 선택하고,
분할봉돌의 개수를 2개 이상 늘려 사용하거나 본봉돌과 보조봉돌의 간격을 늘리기도 하고,
목줄의 길이를 조정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더욱더 가볍고 예민한 채비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것이 그 원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무조건 가볍고 예민하면 좋은 채비일까?
이는 개인의 취향에 따른 선택의 문제이긴 하지만,
지나치게 가볍고 예민한 채비는 잡어의 찌놀림에 속기 쉬어 피곤한 낚시가 될 수도 있고,
대류나 흐름에 취약하여 안정적이지 못하며, 챔질타이밍을 잡기 어려울 수도 있으며,
채비가 쉽게 꼬이거나 전체적인 밸런스가 맞지 않아 채비 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가장 좋은 채비는 자신의 취향이나 기법에 가장 잘 맞는 채비라고 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매듭이 적고 단순한 채비야말로 가장 좋은 채비이다.
여기에 낚싯대 성질 및 칸수, 원줄, 목줄, 찌의 부력과 알맞은 봉돌의 무게 등.. 전체적인 밸런스가 잘 갖추어야 비로소 안정적인 채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에는 무게를 표준화하여 링을 가감하여 부력을 조정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봉돌이 많이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규격화된 채비를 정리하기 편리하게 되어있다.
개인적으로는,,
전통적인 토종붕어 바닥 올림채비로는 현장에 맞는 원줄 및 호수 선택한 뒤 [낚싯대 칸수와 수심 적절한 부력의 찌 + 원봉돌 + 합사목줄 7cm or 경심목줄 20cm]의 채비를 선호하며, 당줄로 결속한 스위벨채비를 서브로 운용하는 편이다.
나노찌 찌몸통 인공소재의 장단점
찌는 단순한 소품이 아니다 붕어낚시에서 찌는 붕어의 입질을 파악하기 위한 소품이다.하지만 붕어낚시꾼에게 있어 찌는 그저 단순한 소품이 아니다. 손맛을 느끼기 전에 붕어낚시에서만 맛볼
boonggarden.tistory.com
붕어낚시 원줄 색깔은 조과와 상관있을까?
붕어낚시에 있어 원줄은 모든 채비를 달고 붕어와 랜딩 싸움을 하는 원천적인 釣具이다. 만약 원줄이 약해 터지게 되면 물고기를 놓치는 것은 물론 딸려 있는 찌, 봉돌, 바늘 등 모든 채비도 그
boonggarden.tistory.com
추억의 인찌기 멍텅구리 낚시와 삼봉 낚시
아마 30년은 된 것 같은데,, 당시엔 인치기를 사용한 멍텅구리 낚시, 바늘이 세 개 달린 삼봉낚시를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멍텅구리 낚시는 주로 낚시 초보자들이나 장대를 이용하는 꾼들이 사
boonggarden.tistory.com
붕어낚시 입질 유형과 챔질 타이밍에 대한 단상
오늘은 붕어낚시를 하면서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이면서도 제일 다루기 힘든 주제인 붕어의 입질과 챔질 타이밍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낚시꾼이라면 아마도 이 부분은 때때로 명확
boonggarden.tistory.com
'피싱마니아 라운지 > 리뷰·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지 대물낚시 다대편성은 필수?! (0) | 2019.02.09 |
---|---|
건탄, 잡어의 공격에 대응하며 기다리는 낚시를 위한 미끼 운용 (0) | 2018.06.09 |
떡붕어, 토종붕어와 공존하게 된 유입 토착종 (0) | 2018.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