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끄베르 토픽27 물가에 사는 네 발 달린 동물들 (水邊·水中 생물) 호수, 저수지, 강, 농수로, 연못, 계류 등.. 오염되지 않은 물가에는 수중 생태계가 잘 형성되어 있기 마련입니다.물속에는 각종 수서곤충들과 민물새우 같은 갑각류, 민물조개, 다슬기(올갱이) 같은 연체류, 그리고 가장 많은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는 어류가 생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가에는 수중 생물들만 서식하는 것이 아닙니다.각종 양서류, 파충류, 왜가리나 가마우지 같은 조류, 그리고 포유류까지.. 매우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수변과 수중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들 중에서 네 발 달린 동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양서류 양서류는 물과 뭍 양쪽에서 모두 서식할 수 있는 동물을 말합니다. 흔히 개구리, 두꺼비, 맹꽁이, 그리고 생태교란 유해 외래종인 황소개구리가 대표적입니다.. 라끄베르 토픽/자연다큐 (네이처 지오그래픽) 2023. 9. 15. 수질에 따른 서식 어종 (수질 등급과 토종 민물고기) 오늘은 환경부가 지정한 수질 등급에 따라 각 하천에 서식하고 있는 물고기 종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우선 각 수질 등급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외래 어종과 수서곤충·양서류 등을 제외한 수질별 토종 민물고기의 서식 분포만을 정리해 보았다. 지정된 수질 등급이라도 가뭄, 오염원 유입, 난개발, 외래 어종 유입으로 인한 수질 악화 등의 변수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변동 요인 역시 일단 제외했다.참고로,, 같은 급수끼리도 上·中·下 등급으로 구분되거나, 경계성 상태 여부로 판단하여 다르게 구별할 수 있다. 수질 급수별 민물고기 분포에 대한 정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리게 눈부신 1 급수 청정 계곡의 토종 민물고기들 1 급수 수질 : 유리처럼 맑고 깨끗한 감로수 1 급수는 그야말로 오염원이 없는 가장 .. 라끄베르 토픽/자연다큐 (네이처 지오그래픽) 2023. 6. 28. 고복저수지와 메기매운탕 (세종시 매운탕 맛집) 이번 주말, 세종시 고복저수지에 있는 메기매운탕 맛집을 찾았습니다. 충북 단양의 다누리아쿠아리움 근처에는 쏘가리매운탕 맛집이 많이 있듯이, 고복저수지 부근에는 메기매운탕 식당이 많이 있습니다.그리고 호숫가를 따라 둘레길 데크가 잘 설치되어 산책 코스를 즐길 수 있는 고복저수지의 풍경을 만끽할 수도 있습니다. '고복자연공원'으로 명명되어 있는 고복저수지는 1,949㎢에 달하는 넓은 면적에 잘 조성된 산책로와 수려한 풍광을 자랑하여 세종시의 랜드마크 중 하나입니다. 주변에는 메기매운탕, 한방오리 등의 맛집들과 포도, 배, 복숭아 등을 재배하는 과수 단지 및 인근 조각공원 등이 조성되어 있어 볼거리와 먹거리가 많아 나들이 코스로 제격입니다. 이번에 찾아간 메기매운탕 집은 필자가 가끔씩 즐겨 찾던 곳으로 '백.. 라끄베르 토픽/포토에세이 (누리마루 풍경) 2023. 6. 25. 단양 다누리아쿠아리움에서 만난 천사 물고기, 백금공작잉어 지난 휴일 충북 단양 다누리아쿠아리움을 다녀왔습니다.국내에 많은 수족관 아쿠아리움이 있지만, 제가 이곳을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국내 최대의 민물 생태, 토종 민물고기 아쿠아리움이기 때문입니다.오늘은 그곳에서 만난 특별한 물고기와 함께 충북 단양팔경 테마의 하나인 다누리아쿠아리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국내 최대 민물 생태 수족관, 단양 다누리아쿠아리움 토종 민물고기 생태관인 다누리 아쿠아리움은,,국내 내수면 토종 물고기 63종, 약 2만 마리와 해외 어류 87종 약 1,600여 마리가 있습니다. 특히 남한강계 토종인 황쏘가리를 비롯, 납자루, 은어, 붕어, 잉어, 메기 등의 물고기와 계류어인 어름치, 산천어, 열목어, 그리고 1 급수 어종인 종개, 버들치, 돌고기, 쉬리, 갈겨니 등.. 예쁘고 .. 라끄베르 토픽/자연다큐 (네이처 지오그래픽) 2023. 6. 8. 붕어의 입질 패턴, 생태 습성까지 바꾼 가마우지 얼마 전 철새였던 민물가마우지가 텃새화되어 토종생태계를 교란하는 현상에 대해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현재 가마우지는 우리나라의 모든 저수지란 저수지 마다 일정 개체들이 분포하여 아예 터주 노릇을 할 정도여서 토종 수중 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생태 교란종으로 악명을 떨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가마우지로 인한 환경적 문제점은 본문 하단에 링크된 이전 글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오늘은 오직 낚시꾼의 입장에서 직접 체감한 가마우지의 폐해에 대한 필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물고기 사냥꾼 가마우지 일가의 저수지 일상 이제 어느 저수지든(공원 저수지, 유료터, 자연 저수지, 대형 소형 연못 불문) 조금만 관심을 갖고 보면 시커멓고 못생긴 거위 같은 녀석들이 눈에 띄는데 이 녀석들이 바로 굴러들어 온 돌덩이인 .. 라끄베르 토픽/토종생태자연환경 (붕어가 사는 나라) 2023. 5. 22. 석가탄신일 방생하면 안 되는 방생 금지 생물 음력 4월 8일 초파일 '부처님 오신 날 (석가탄신일)' 즈음하여 매년 '방생 행사'가 있다. 연등 행사와 더불어 신도들이 함께 참여하는 이 방생 행사는 살생을 금하는 불교 교리에 따라 다른 사람이 잡은 살아있는 어류, 조류, 짐승 등을 다시 산이나 연못으로 살려 돌려보내는 행사이다. 이 행사는 3월 8일과 8월 보름에도 행해졌었다.하지만 심각한 토종 생태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방생 금지 생물, 즉 절대로 방생해서는 안 되는 생물을 놓아주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석탄일에 절대로 방생해서는 안 되는 동물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방생 행사의 취지와 토종 생태계 환경 불교는 무고한, 이유 없는 무도한 살생을 엄격히 금지하는 종교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잡혀 죽게 될 동물들을 살려줌으로써 공덕.. 라끄베르 토픽/토종생태자연환경 (붕어가 사는 나라) 2023. 5. 21. [붕어진액] 붕어 엑기스 드시나요? 붕어즙 효능과 부작용 먹거리가 다양해진 지금은 그렇지 않지만, 과거 토종붕어는 한국인에게 훌륭한 먹거리이자 탕약 재료이기도 했다.붕어 엑기스(붕어진액)라고도 하는 붕어즙은 여전히 찾는 이들이 있다.예전에는 관리터에서 잡은 고기들을 가져다 약을 내려 먹는다고 낚은 붕어들을 잔뜩 가져가거나 다른 이들의 붕어 앵벌이를 하는 이도 있었다.그렇다면 붕어진액은 정말 효능이 있는 것일까? 오늘은 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붕어즙 엑기스의 효능 동의보감에서는 붕어의 효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土의 기운을 지닌 붕어는 단맛과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비위를 북돋아주어 위장을 다스리고,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붕어의 효능으로 알려져 있다. 영양 공급 : 붕어진액에는 단백질, 지.. 라끄베르 토픽/에코라이프·생활환경 (초록누리) 2023. 5. 16. 민물 붕어 낚시터 종류 (장소·입어료에 따른 분류) 오늘은 민물낚시의 대표 장르인 붕어낚시를 할 수 있는 장소, 즉 붕어 낚시터 종류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이는 액션 기법이나 민물 어종에 따른 부분은 제외하고, 오직 붕어낚시 장소에 따른 구분이며, 유료터를 포함하는 분류이다. 또한 장소와 요금 징수 등의 행위에 따라 일부 구분 기준에서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예전과 달리 붕어낚시터의 종류도 매우 다양해졌으며,, 드물게는 유료터 중에서 장어, 틸라피아(수입 민물 역돔), 메기, 송어 등..붕어 이외의 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전용 민물 낚시터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입어료 유료·무료에 따른 붕어 낚시터 분류 유료 낚시터인지, 무료 낚시터인지에 대한 분류는 간단하다.자연지, 노지에서 하는 낚시는 무료다. 하지만, 자연지는 낚시를 금지하는 곳도.. 라끄베르 토픽/토종생태자연환경 (붕어가 사는 나라) 2023. 4. 21. 텃새가 된 가마우지, 유해 야생동물 지정되나? 언제부터인가 저수지에서 붕어낚시를 하다 보면 가마우지가 물고기들을 사냥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되었다. 한 편으로는 새가 잠수하여 물고기를 잡는 게 신기하기도 했지만, 한 편으로는 '남방 철새 가마우지가 이젠 우리나라에서도 자주 보이네?'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결국 이 민물가마우지 개체가 급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가마우지의 특성 가마우지는 가마우지과 조류의 총칭으로서 전 세계에 32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표적으로 쇠가마우지 외 서식지에 따라 바다, 민물가마우지로 나뉘는데 여기서 말하는 것은 바로 붕어 사냥꾼, 민물가마우지다. 서식지 물고기 천렵을 주업으로 하는 개체이니 가마우지의 서식지는 당연히 물가이다.가마우지 種 중에서 주류인 바다가마우지는 대부분 해안가에 서식하나, 민물가마우지는 강.. 라끄베르 토픽/자연다큐 (네이처 지오그래픽) 2023. 3. 12. 토종 민물새우와 대물붕어낚시 미끼(feat.토종생태환경) 우리 하천에는 많은 토종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오염되지 않고 유해 외래어종이 없는 곳이라면 토종 수중 생태 환경 속에는 정말 다양한 종류의 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오늘 이야기하고자 하는 토종 생물은 바로 민물새우이다. 민물새우의 종류 우리 토종 민물새우는 크게 '징거미과'와 '새뱅이과'로 나뉜다. ☞ 징거미새우류에는 징거미류, 줄새우류를 비롯해 약 16여 종이 있고, 새뱅이과에는 새뱅이류, 생이새우류 등 약 7여 종이 있다. 징거미류는 가재처럼 긴 집게발이 있고 큰 개체이며 공격성도 갖추고 있어 작은 물고기도 먹이로 삼는다. 줄새우류는 징거미에 비해 작고 집게발이 없어 큰 물고기의 먹이가 되기도 하지만, 역시 작은 치어를 먹이로 삼기도 한다. 줄새우는 일반적으로 '보리새우'로도 불린다. .. 라끄베르 토픽/토종생태자연환경 (붕어가 사는 나라) 2022. 12.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