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끄베르 토픽/토종생태자연환경 (붕어가 사는 나라)

붕어 산란기 변수, 외래어종과 배수기🐟달라진 붕어 산란 패턴

초록누리 2025. 2. 25.

봄이 다가오면 붕어의 산란기가 시작됩니다. 낚시꾼들에게는 산란철 특수 찬스를 노릴 수 있는 때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환경오염, 기후 변화, 외래어종, 그리고 가뭄에 의한 잦은 배수의 영향이 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달라진 붕어의 산란 패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붕어의 산란 패턴 및 환경의 변화

 

요새는 붕어들이 수시로 산란을 하네?

 

언제부터인가, 낚시를 하다 보면 산란철이 아닌데도 낚인 붕어들이 알을 잔뜩 품고 있는 것을 보며 이런 말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과거에 비해 붕어의 산란 패턴이 사뭇 달라지고 있는 것이죠.

 

그러나 이것은 붕어의 번식력이 왕성해진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외래어종의 포식 압력과 배수기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붕어가 종족 유지를 위해 산란 시기와 포란 방식을 달라진 환경에 맞춰 적응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외래어종이 붕어 산란에 미치는 영향

 

두말할 것도 없이, 배스와 블루길 같은 외래어종은 붕어의 산란과 부화 과정에서 아주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놈들입니다.

게다가 요즘에는 텃새가 된 가마우지까지 산란에 열중하는 붕어들을 아주 손쉽게 털어가기까지 합니다.

 

🔹 블루길, 배스의 높은 포식률

 

  • 블루길은 붕어 산란장을 습격하여 알을 모조리 털어 먹는 지독한 놈들입니다.
  • 배스 역시 어렵게 부화한 붕어 치어들로 영양 보충까지 합니다,
  • 요새는 가마우지까지 연안 수초대에서 몸을 드러내고 번식에 열중하는 붕어들을 사냥할 필요도 없이 그냥 주워 먹는 것도 문제입니다.

 

🔹 서식지 경쟁과 교란

 

  • 블루길은 마치 역돔(틸라피아)처럼 연안 바닥에 산란장을 만들고 텃세를 부리다가 붕어가 알을 낳으면 즉시 먹어치웁니다.
  • 배스는 붕어의 주요 산란장인 얕은 수초지대를 점유하여 붕어가 산란할 기회를 빼앗기도 합니다. 배스 역시 수초대에 알을 낳는 데다가 수컷이 산란장을 지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외래어종의 위협 때문에 붕어들이 더 안전한 산란지를 찾거나 아마도 산란 습성을 바꾸려는 상황에 놓인 것 같습니다.

 

물속의-수초-지대로-산란하기-위해-몰려든-붕어들의-모습
산란기 붕어들

 

배수기가 붕어 산란에 미치는 영향

 

농번기(4~6월)에는 저수지의 물을 빼서 모내기 농업용수로 사용합니다. 이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죠.

그러나 기후 변동으로 봄에 특히 가뭄이 심해지는 현상이 잦아져 저수지 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배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문제입니다.

이 시기에 산란을 해야 하는 붕어와 토종 물고기들에게 이러한 현상은 생존과 번식 자체를 위협하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 산란장 소실

 

  • 배수로 인해 붕어가 알을 부착한 수초와 바닥 지형이 노출되면서 산란장이 사라집니다.
  • 알이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햇볕에 마르면 부화하지 못하고 폐사합니다.

 

🔹 부화 실패 및 치어 감소

 

  • 수위가 갑자기 낮아지면 알과 치어가 떠내려가거나, 포식자에게 쉽게 노출됩니다.
  • 수온 변화가 심해지면서 붕어의 부화율이 떨어지고, 치어의 생존율도 낮아집니다.

 

🔹 개체군 밀도 감소

 

  • 지나친 가뭄과 불규칙한  배수로 인해 토종붕어의 개체 수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 번식 자체가 어려운 환경이 지속되면, 아무래도 장기적으로는 토종 물고기 자원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겠죠.

 

 

외래어종과 배수기로 인해 변화하는 붕어의 산란 습성

 

외래어종의 포식, 기후 변화, 그리고 불규칙한 배수기의 영향이 겹치면서 붕어의 산란 시기와 산란 습성도 점차 변화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변화

 

🔹 산란 시기의 변화

 

  • 과거에는 4~6월이 붕어의 주요 산란기였지만, 이제는 산란 시기가 분산되는 경향을 보임
  • 이른 산란(3~4월): 배스와 블루길이 활발히 활동하기 전, 수온이 낮은 초봄에 산란하는 붕어들이 증가
  • 늦은 산란(6~7월) : 배수가 끝난 후, 더 늦게 산란하여 부화 성공률을 높이려는 경향

 

이런 현상 때문에 얼핏 보면 붕어들이 번식력이 강해져서 마치 수시로 알을 낳는 것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물론 붕어의 산란 시기는 지역마다, 그리고 계곡지와 평지형 저수지마다 각각 다르며, 어떤 곳은 특정 시기 없이 수시로 산란을 하는 곳도 생겨나는 추세입니다.

 

🔹 산란 장소의 변화

 

  • 붕어가 배스, 블루길이 점령한 수초지대는 피하고 상대적으로 안전한 곳을 찾으려 함
  • 배수 영향을 덜 받는 더 깊은 수심에서 산란
  • 유속이 있는 하천 지류로 이동하여 산란하는 경우도 증가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붕어의 일반적인 산란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성공적인 부화율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붕어의 습성 변화

 

🔹 분산 산란 증가

 

  • 한 번에 많은 알을 낳는 방식에서 벗어나, 여러 번에 걸쳐 소량씩 산란하는 패턴이 증가
  • 일부라도 살아남을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이지만, 개체군 유지에는 불리할 수 있음

 

🔹 야간 산란 증가

 

  • 낮에는 외래어종이 활발히 활동하고, 배수로 인해 환경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붕어가 야간에 산란하는 빈도가 증가함
  • 밤새도록 푸덕거린 것이 잉어만이 아니라 붕어도 있었던 것임!

 

영광군-불갑-저수지-생태-사업-계획도-이미지
영광군의 인공 산란장 사업

 

토종 물고기 개체군 보호를 위한 대책

 

외래어종과 배수기로 인해 붕어의 산란 패턴이 변화하고는 있지만, 현재 상황이 지속되면 붕어 개체 수는 점차 감소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각 지자체에서는 토종 개체들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다음과 같이 시행하기도 합니다.

 

  • 산란장 복원 및 보호 : 수위가 낮아져도 일정 구역은 수초가 유지될 수 있도록 환경 조성
  • 외래어종 관리 : 배스, 블루길 개체 수 조절을 위한 지속적인 포획, 퇴치 활동
  • 토종 물고기 치어 방류 : 붕어 개체 수 유지 및 자연 증식 지원

 

치어 대량 방류뿐만 아니라 자연 번식을 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고 있는 것이죠.

배수기를 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산란 환경을 보전하고 붕어 개체군을 유지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여러 지방자치단체와 관련 기관에서 저수지에 토종 물고기의 인공 산란장을 조성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예산군은 예당저수지 상류 지역 4곳에 어류 인공 산란장을 설치하여 산란기를 맞은 물고기들에게 안전한 산란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인공 산란장은 수초섬 형태로 만들어져 물고기 알의 부착을 돕고, 부화율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런 산란장은 저수지 연안이 아니라 수심이 깊은 곳에 인공섬 형태로 조성했기 때문에 배수기에도 토종 물고기들이 안전하게 알을 낳을 수 있습니다.

일종의 붕어들의 러브스폿인 셈입니다.

 

이밖에도 청주시 산란 인공섬 조성,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의 자연석과 PVC 파이프를 활용한 산란장 조성 연구 진행 등과 같은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절기는 못 속인다고,,

이제 곧 봄이 오고 본격적인 낚시 시즌이 시작되겠군요.

그래도 짧고도 강렬한 산란기 특수는 오름 수위 특수와 함께 언제나 붕어 낚시꾼을 설레게 합니다. 😊

 

 

생태 교란종 브라운 송어, 식용으로는 일품? 🐟 송어 요리

 

생태 교란종 브라운 송어, 식용으로는 일품? 🐟 송어 요리

몇 년 전부터 브라운 송어가 소양강 일대를 휘젓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한강 수계 전체로 확산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 갈색 송어 개체들 역시 토종 생태계를 심각하게 훼손하기에 이미

boonggarden.tistory.com

환절기 붕어낚시 변수, 바람과 수온

 

환절기 붕어낚시 변수, 바람과 수온

오늘은 가벼운 주제이면서도 붕어 낚시꾼을 딜레마 멘붕에 빠뜨리는 환절기 낚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여기서 환절기라는 것은 봄과 가을 전후반 환절기 시즌을 모두 의미하는 것입

boonggarden.tistory.com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와 꿀벌의 실종, 집단 폐사로 인한 재앙

 

꿀벌이 사라지는 이유와 꿀벌의 실종, 집단 폐사로 인한 재앙

꿀벌이 사라지고 있습니다.꿀벌의 실종과 집단 폐사가 해마다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은 자연 생태계의 위기와 함께 인류에게도 심각한 재앙으로 다가올 것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매

boonggarde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