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에 있어 비스타(Vista)란 곧 통경선을 이르는 말이다.
통경선은 부지 내에서 가장 중요한 시점(視點)이 되는 중심점으로부터 부지 길이 방향 끝까지 일정한 너비로 쭉 뻗은 지대로서 이 대상 지대에는 일체 식재를 하지 않아 부지 끝에서 중심점이 그대로 보이게 하는 조경 기법이다.
'초점경관', 혹은 '조망지점'이라고도 불리는 이러한 이러한 통경선 기법은..
강조하는 지점을 부각하고 멀리서 경치를 바라보는 듯한 느낌과 함께 부지를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미국의 여행지를 다니다 보면 'Vista Point'라는 표지판을 접할 수 있는데 이는 곧 '조망지점'이라는 뜻으로 경치를 바라보기 좋은 곳이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조경 기법은 특히 평원 지대인 프랑스에서는 기하학적 문양과 대칭을 중시하는 독특한 정원 양식이 크게 발달하면서 이러한 통경선(비스타) 기법이 유행했다.
건축물 공간이 마치 정원의 일부로 여겨지는 효과가 있다.
이는 서양의 정형식 정원 양식을 기반으로 하며, 이태리에서 시작되어 프랑스식 조경 기법으로 완성된 것이다.
서양의 조경 양식은 있는 그래도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살리며 우주의 조화를 표현하고자 하는 동양의 '회유임천식' 조경과 달리 정형적이고 기하학적 인공미를 최대한 부각하여 권위와 부를 과시하고자 하는 측면이 있다.
그래서 초점 조망을 강조하면서도 부지의 세력을 부각할 수 있는 이러한 비스타, 즉 통경선의 배치는 바로 이러한 동기를 구현한 상징적 조경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통경선 내에는 분수나, 조각물 등의 점경물(點景物)을 제외하고는 일체 식재를 하지 않는데, 이러한 통경선의 가장 좋은 예로써 르 노트르가 설계한 프랑스의 베르사유 궁원을 꼽을 수 있다.
조경양식의 분류, 동양 회유임천식 자연 정원의 특징과 매력
'그린가든 빌리지 > 원예와 조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엽식물 실내에서 키울때 중요한 포인트, 환기와 햇빛 (0) | 2019.12.27 |
---|---|
산세베리아, 해피트리, 율마.. 새로 입양한 공기정화식물 삼형제 (0) | 2019.10.14 |
주방에 두면 좋은 공기정화식물, 스킨답서스 (0) | 2019.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