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는 참치라는 물고기가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리고 종류에 따라 맛과 용도가 다르죠. 그래서 오늘은 다랑어류, 새치류 등 다양한 참치 종류의 특성과 각 용도(통조림, 횟감, 구이, 국물용 등)를 알아보고, 어떤 참치가 고급으로 취급되는지, 어떤 개체가 가장 저렴한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치의 주요 종류
참치는 크게 다랑어류와 새치류로 나뉩니다. 각 종류에 따라 모양, 크기, 색상, 식감, 지방 함량 등이 다 다르며 용도도 정말 다양합니다.
참치는 고급 어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냉동 횟감뿐만 아니라 모든 생선회 중에서도 최고로 쳐줍니다.
다랑어류 (Tuna, Thunnini) 🐳
다랑어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참치'라고 부르는 어종이며, 식용으로 가장 널리 소비됩니다. 주요 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다랑어(Bluefin Tuna, 혼마구로)
- 특징 : 가장 크기가 크며(최대 3m, 600kg 이상), 살이 붉고 지방이 풍부해 고소한 맛이 강함.
- 서식지 : 대서양, 태평양, 지중해 등 광범위한 지역에 서식.
- 용도 : 최고급 횟감(특히 일본에서 최고급 초밥용으로 사용), 스테이크, 타다키(겉만 살짝 익힌 요리 ← 이거 강추!).
- 가격대 : 가장 고급. 일본에서 특히 높은 가격에 거래되며, 경매에서 수억 원에 낙찰되기도 함.
→ 참다랑어는 오도로(뱃살)와 주도로(중뱃살), 아카미(등살)로 나뉘며, 부위에 따라 가격과 맛이 확 달라짐.
🔹눈다랑어(Bigeye Tuna, 메바치 참치)
- 특징 : 참다랑어보다 크기가 작지만(최대 2.5m, 200kg), 지방이 많고 육질이 단단함.
- 서식지 :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서 서식.
- 용도 : 횟감, 초밥용, 스테이크, 훈제.
- 가격대 : 고급. 참다랑어보다 저렴하지만 여전히 고급 참치로 취급.
→ 눈이 크다는 특징이 있으며(참치눈물酒), 지방이 많은 부위는 참다랑어 대체용으로 사용되기도 함.
🔹황다랑어(Yellowfin Tuna, 키하다 참치)
- 특징 : 살이 밝은 붉은색을 띠며, 지방 함량이 적고 담백한 맛이 특징.
- 서식지 :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
- 용도 : 횟감, 초밥용, 스테이크, 구이용, 통조림.
- 가격대 : 중급. 눈다랑어보다 저렴하지만 여전히 신선한 횟감으로 많이 소비됨.
→ 황다랑어는 비교적 마블링이 적어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인기가 많음. 그런데 지방이 좀 있어야 꼬소함.
🔹가다랑어(Skipjack Tuna, 가쓰오부시용 참치)
- 특징 : 크기가 작고(최대 1m, 20kg), 지방이 적으며 살이 붉고 강한 맛이 특징.
- 서식지 : 열대 및 온대 해역.
- 용도 : 통조림(참치캔), 가쓰오부시(일본식 육수용), 국물용.
- 가격대 : 가장 저렴. 대량 어획이 가능해 가공식품 원료로 주로 사용됨.
→ 일본에서는 가쓰오부시로 가공되어 국물 요리에 필수적인 재료로 쓰임. 동원 참치가 바로 가다랑어입니다.
새치류 (Billfish, Istiophoridae) 🐳
새치류는 참치와 비슷한 생선으로, 길고 뾰족한 부리가 특징입니다.
참치처럼 식용으로 사용됩니다. 예전에는 '바다의 닭고기'로 불렸던 만큼 물고기 생선인데 살이 부스러지지 않아 식감이 좋습니다.
🔹청새치(Blue Marlin, 마카지키)
- 특징 : 크고(최대 5m, 600kg), 지방이 많으며 육질이 부드러움.
- 서식지 : 열대 및 아열대 해역.
- 용도 : 횟감, 스테이크, 훈제.
- 가격대 : 중고급 참치보다는 저렴하지만 고급 요리에 사용됨.
→ 일본에서는 사시미(회)로 소비되며, 미국에서는 스테이크용으로 인기가 많음.
🔹 황새치 (Swordfish, Xiphias gladius)
- 특징 : 몸길이 최대 4.5m, 650kg까지 자라는 대형 어종으로, 살이 부드럽고 지방 함량이 적음.
- 서식지 :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
- 용도 : 스테이크, 구이, 훈제.
- 가격대 : 중고급. 지방이 적고 부드러운 육질 덕분에 스테이크용으로 인기.
→ 황새치는 참치와 달리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며, 특히 서양 요리에 많이 사용됨. 그런데 워낙 커서 잡기가 힘듭니다.
🔹돛새치(Sailfish, 바다돛새치)
- 특징 : 가장 빠른 어종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살이 부드러우나 지방이 적음.
- 서식지 : 열대 및 온대 해역.
- 용도 : 훈제, 스테이크.
- 가격대 : 중저가. 생긴 것이 아까울 정도로 일반적으로 청새치보다도 저렴.
→ 노인과 바다에 등장하던 녀석이 바로 이 돛새치입니다. 마치 등에 돛을 단 것 같은 웅장한 자태를 뽐내며, 가장 빠른 유영 능력을 자랑합니다. 그리고 영화에도 출연해 나름 유명 연기력을 인정받았죠. ㅋ
참치의 어획과 양식
참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어획 및 양식됩니다.
🔹어획 방법
- 연승어업(낚시식 어획, Longline Fishing) : 참치를 개별적으로 낚아 올리는 방식으로, 품질이 뛰어나 횟감용 참치에 적합함.
- 선망어업(그물어업, Purse Seine Fishing) : 거대한 그물로 한 번에 많은 참치를 포획하는 방식으로, 주로 통조림용 가다랑어나 황다랑어 어획에 사용됨. 한꺼번에 대량으로 잡아 올리니까 품질은 낚시로 잡는 것보다는 떨어짐.
- 트롤링(Trolling) : 미끼를 끌며 참치를 유인해 잡는 방법으로, 주로 스포츠 피싱이나 소규모 어획에 사용됨. 루어를 사용해 지깅이 아닌 펌핑 액션으로 낚는 레저(낚시) 활동에 가까움.
🔹양식 방법
- 완전 양식 : 부화부터 성어까지 키우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일본과 호주에서 일부 성공 사례가 있음.
- 축양(해상 가두리 양식) : 어린 참치를 포획해 해상 가두리에서 키우는 방식으로, 일본과 스페인 등에서 시행 중.
🔹한국의 참치 양식 현황
놀랍게도(?) 한국에서도 참다랑어(혼마구로)의 해상 가두리 양식을 시도하고 있으며, 주로 제주도와 남해 일부 지역에서 운영 중입니다.
이게 바로 지구 온난화 기후 변화에 의한 바다 수온 상승으로 참치들이 한반도 인근해에서도 서식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가능해진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술적 난이도와 높은 비용 때문에 대규모 양식보다는 연구와 시범 운영이 중심이며, 그래도 일부 양식 참치는 일본으로 수출되기도 하고, 국내에서도 고급 횟감용으로 소비된다고 합니다.
참치의 용도별 구분
참치는 어종과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용으로 사용됩니다.
참치 종류 및 용도별 식용 용도 🎏
- 고급 횟감: 참다랑어(혼마구로), 눈다랑어, 황다랑어, 청새치
- 일반 횟감 & 초밥용: 황다랑어, 눈다랑어, 청새치
- 구이 & 스테이크: 참다랑어, 눈다랑어, 황다랑어, 청새치, 돛새치
- 통조림 & 가공용: 가다랑어, 황다랑어
- 국물용 & 가쓰오부시: 가다랑어
고급 참치 vs 저렴한 참치 🎏
🔹고급 참치
- 참다랑어(혼마구로): 최고급 초밥용으로 유명하며 가격이 가장 비쌈.
- 눈다랑어: 고급 횟감으로 인기.
- 황다랑어: 중고급 횟감 및 구이용.
🔹저렴한 참치
- 가다랑어: 통조림용 및 국물용으로 사용되며 가장 저렴함.
- 돛새치: 일반적인 스테이크용이나 가공용으로 사용.
마무리 썰 🍜
참치는 종류에 따라 가격과 용도가 다릅니다.
최고급 참치는 '참다랑어(혼마구로)이며, 가장 저렴한 참치는 동원 참치캔이나 가츠오부시 우동 국물 내는 가다랑어입니다.
참고로,,
참치는 연승어업으로 잡은 것이 품질이 뛰어난데, 역시 낚시로 잡는 게 품질 유지에는 유리하기 때문 아닐까요?
물론 비용이나 시간, 조건 등이 어려운 만큼 더 비싼 생선이 됩니다.
그리고 이제는 기후 변화로 한국에서도 제주도를 중심으로 참다랑어 양식이 진행 중입니다.
참치는 맛도 좋고, 영양 성분도 풍부하긴 하지만, 대형 어류라서 메틸수은 중독 논란이 계속 제기되는 어종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비싼 참치회를 자주 먹기는 어렵고, 참치 통조림도 동원 참치캔 기준 일주일에 2캔 정도면 무난합니다.
이상으로 참치의 종류와 어종 별 용도에 대한 소개를 마무리합니다.
앞으로 참치를 드실 때 참고하시고요, 부위 별 특징 등은 기회가 되면 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 감샤~ 합니다.
명태🐟 국민 생선 명태의 여러 이름과 요리 종류
한국인에게 있어 명태는 단순한 생선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서민의 식탁을 지켜온 소중한 생선이었다. 예전에는 너무 흔해서 ‘국민 생선’이라 불릴 정도였지만, 지금은 한반도 인근에서
boonggarden.tistory.com
역돔, 틸라피아 특징과 식용 가치 feat. 전문 식당, 유료 낚시터
역돔, 틸라피아 특징과 식용 가치 feat. 전문 식당, 유료 낚시터
최근 들어 틸라피아(역돔)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 듯합니다만, 해외에서 역돔은 이미 널리 소비되는 담수 어종으로, 특히 양식 산업에서 어느 정도 비중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그래
boonggarden.tistory.com
향토 음식 붕어찜 효능과 붕어찜 나오는 영화, 허삼관
붕어찜 좋아하시나요? 요즘에 붕어찜 비롯한 민물고기 요리를 즐겨 먹는 분들은 예전보다 많지는 않지만, 필자가 어린 시절만 해도 민물고기 요리를 취급하는 식당도 많았습니다.그중에서 가장
boonggarden.tistory.com
'피싱마니아 라운지 > 피쉬스토리·피싱장르·어류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돔, 틸라피아 특징과 식용 가치 feat. 전문 식당, 유료 낚시터 (0) | 2025.01.23 |
---|---|
루어의 종류와 특징 feat. 송어낚시 루어 (0) | 2025.01.12 |
겨울 루어낚시, 무지개송어 특징과 송어낚시 장비 (0) | 2024.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