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미세먼지와 황사 등의 요인으로 대기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그렇다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환기를 하지 않은 채 그대로 둘 수도 없다.
공기청정기를 비치해 두었다고 모두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실내에서는 새로 입주한 집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되어 있고,
주방이 있기 때문에 음식 조리 시 유해한 물질과 가스도 배출되고,
각종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전자파와 양이온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공기청정기가 이런 것들까지 감소시키지는 않는다.
그래서 공기정화식물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실내에 식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정서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그래서 실내조경이란 말도 나오고 있고, 한때 유행했던 실내공기정화식물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공기정화식물은 증산작용을 통해 공기를 정화시키고,
미세먼지를 흡착하며 숲 속 환경에서 느낄 수 있는 음이온을 발산시켜 주기 때문이다.
음이온을 많이 방출하는 공기정화식물로는 산세베리아가 으뜸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식물군에 비해 약 30배 정도의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육식물의 일종이라 밤에도 산소를 내뿜어 침실에 두어도 좋은 식물이다.
외관이 화려하고 아름답지는 않으나 물관리나 일조량 등..
기르기에 그 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줄기를 잘라 수경으로도 재배가 가능할 만큼 환경적응력도 뛰어난 식물이다.
가격도 저렴해서 한때 반드시 구비해야 할 공기정화식물로 크게 유행한 바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 산세베리아를 예전처럼 그렇게 흔하게 구입할 수 없다.
물론 화원이나 온라인상에서 얼마든지 구입할 수는 있지만, 확실한 것은 예전에 비해 유통이 확실히 감소했다.
이는 곧 산세베리아의 가격 상승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예전에는 포트에 담긴 산세베리아를 얼마든지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었다.
비교적 고급으로 치던 말레지아산 대신 값싼 중국산이 많이 들어왔었기 때문인데, 어쨌든 식물 본연의 기능성과 외관상의 큰 차이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급격한 유통 감소로 포트에 담겨 파는 곳은 찾기가 힘들어졌고, 화분에 세팅되어 담겨 있는 산세베리아를 구입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화분에 세팅되어 담긴 식물을 산다는 것은 식물 그 자체보다. 화분 패키지를 사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비싼 가격대를 형성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기존에 원예에 관심이 있거나, 따로 저렴하고 다양한 화분을 구입해서 옮겨 심을 수만 있다면,,
그냥 판매용 포트에 담긴 식물과 화분을 따로 사다가 분갈이하는 것이 훨씬 저렴하고 경제적이며, 화분의 재활용률도 높다.
화분에 세트로 담긴 식물을 구입할 경우에는 디자인은 예쁠지 몰라도,,
화분이 너무 작거나 식물의 뿌리성장 습성과 같은 특성에 맞지 않아 얼마 안 되어 다시 분갈이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또 어떤 경우에는 그 화분 속 내용물의 절반 이상이 스티로폼이나 연탄재, 혹은 굵은 자갈 등의 배수용 충전재로 채워져 있으면서 고급 분갈이용 상토는 얼마 되지도 않는 심란한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인지,,
탁월한 공기정화 기능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가격대로 쉽게 구입할 수 있었던 예전의 그(포트에 담겨 있던) 산세베리아들이 문득 그리워지기까지 한다.
최근에 스투키가 산세베리아의 일종이라고 여겨 많이 유행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유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대를 형성하여 유통되고 있는 현상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댓글